mirrorroid

뉴스& 소식

서울시, 인공지능 관련 기업 혁신기술 실증에 올해 80억 투입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뉴스

서울시, 인공지능 관련 기업 혁신기술 실증에 올해 80억 투입

작성일 25-04-18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6회 작성일 25-04-18

본문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 ㈜엔젤로보틱스는 보행 장애가 있는 어린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보행보조 웨어러블 로봇을 실증하고 소아 환자 맞춤형 보행 훈련 프로토콜을 수립했다. 이 기업은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지난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으며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에서 제품 납품 실적을 거두는 성과를 냈다.
#. ㈜미러로이드는 서서울생활과학고 미용 실습실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미러를 설치해 헤어스타일 추천과 교육 과정 연계 가능성 등을 실증했다. 이 기업은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하며 K-뷰티 산업 경쟁력 강화와 해외 확산에 앞장섰다.
서울시는 도심 전역을 혁신 기술 실험장으로 제공하는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 1차 공모(일반 과제)에 참여할 기업을 오는 21일까지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2018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시작된 '테스트베드 서울'은 중소·벤처·창업기업이 겪는 대표적인 불편 사항인 실증기회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사업이다. 시는 지난 7년간 서울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모두 206개 과제를 선정해 실증 비용 683억원을 지원했다.
시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 집중 육성과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80억원 예산을 투입해 지원한다.
전체 실증 과제 40개 중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융합 과제를 절반 이상으로 채운다. 지난 7년간 지원한 206개 과제 중 53개(25.7%)가 인공지능 관련 과제였지만 올해는 20개(50%) 이상을 인공지능 기반 기술로 선정할 방침이다.
그간 주요 인공지능 실증 사례로는 양천구청에서 진행한 'AI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 관악구청에서 추진한 'AI 생체인식 반려동물 신원확인 서비스' 등이 있었다.
시는 해외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기 위해 올해는 해외까지 실증 대상을 확대한다. 해외 지사가 있는 공인시험인증기관을 해외 실증 협력 기관으로 선정해 해당 기관의 해외 연계망과 기반 시설을 활용할 예정이다.
올해 해외 도시 실증 시범 사업으로 3개 과제를 운영할 예정이다. 오는 7월 별도 2차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지난해부터 공공 부문에서 실증처를 찾기 어려워하는 기업을 위해 실증 기관을 민간 부문으로 확대했다. 현재 ㈜호반건설, 현대백화점면세점 등이 실증 기관으로 참여해 기술 실증을 진행 중이다.
시는 실증 기관 참여를 유도하는 유인책을 도입한다. 실증 연계나 과제 성공 시 시장 표창 등 보상을 준다.
또 기존 7개 테스트베드 과제 유형을 5개로 정비했다. 일반과제·동행과제·협력과제를 일반과제·해외과제로 통합하고 예산지원형·기회제공형 과제를 예산지원형 과제로 단일화했다. 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을 선정하기 위해 실증 기관이 제안하는 수요 과제형과 기업이 제안하는 자유 공모형은 지속 추진한다.

올해 테스트베드 서울 1차 공모(일반 과제)를 희망하는 기업은 서울경제진흥원 서울R&D지원센터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지원 대상은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IoT) 등 혁신 기술을 보유한 서울 소재 중소기업이다. 시는 실증이 필요한 현장을 사전에 발굴해 60여개 수요 과제를 공개했다. 수요 과제 외에도 기업이 자유롭게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올해 주요 수요 과제는 반지하 주택 밀집 지역 침수 수위 측정 기술, 인공지능 무인 자율 주행 청소차 기술, 전기차 배터리 이상 진단과 알림 체계 구축 기술 등이다.
최종 선정된 기업에는 최대 1년간 실증 가능한 장소와 과제당 최대 2억원 예산이 지원된다.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기업에는 서울시장 명의 실증확인서(레퍼런스)가 발급된다. 이후 조달청 혁신 제품 등록을 위한 상담을 비롯해 국내외 박람회 참가 지원, 투자 유치 등을 함께 제공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테스트베드 서울 사업은 혁신 기업들이 실제 환경에서 기술을 검증하고 국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서울의 핵심 플랫폼"이라며 "AI, 로봇 등 서울의 미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미라트뷰티 홈페이지 : https://mirart.co.kr/home/
출처 : 뉴시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